대중교통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필수불가결한 이동수단입니다. 경기도민들에게 희소식이 있습니다.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인 'The 경기패스'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 사업은 국토부의 K-패스에 경기도만의 추가 혜택을 더한 것으로, 경기도민들은 더욱 풍성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The 경기패스 K-패스 차이 대상 주요 혜택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he 경기패스 소개
The 경기패스는 국토부에서 시행하는 K-패스에 경기도의 추가 혜택을 결합한 경기도의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입니다.
The 경기패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 회원가입을 해야 하며, 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은 4월 30일까지 회원 전환을 완료해야 합니다.
The 경기패스 K-패스 차이
The 경기패스는 K-패스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우선 청년 기준 연령이 19~39세로 K-패스보다 더 넓습니다. 또한 지원 횟수에 상한이 없다는 점도 K-패스와 다른 부분입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경기도민들은 The 경기패스를 통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The 경기패스 대상과 혜택
The 경기패스의 대상은 19세 이상 경기도민 누구나 해당됩니다. 나이 기준은 2024년을 기준으로 2005년생의 경우 생일이 지난 이후부터 가입이 가능하며, 주소지 기준으로는 주민등록상 경기도가 거주지인 이용자는 자동으로 K-패스 혜택과 The 경기패스 추가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The 경기패스의 주요 혜택으로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무제한 일정 비율 환급이 있습니다. 환급율은 20~30대 청년은 30%, 40대 이상 일반은 20%, 저소득층은 53%입니다. 또한 전국 대부분의 대중교통에서 사용 가능하며, 버튼 클릭 없이 일반 교통카드처럼 승하차할 수 있는 자동 사후정산 환급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The 경기패스 신청 방법
The 경기패스를 신청하려면 전용카드(선불형 또는 후불형)를 발급받은 후,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진행해야 합니다.
전용카드는 BC카드, KB카드, 광주은행, 기업은행, 삼성카드, 농협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선불형과 후불형 모두 가능합니다. K-패스와 The 경기패스 전용 카드는 별도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요약정리
구분 | 내용 |
---|---|
대상 | 19세 이상 경기도민 누구나 |
나이 기준 | 2024년 기준 2005년생 이후 생일 지난 경우 가입 가능 |
주소지 기준 | 주민등록상 경기도 거주자는 K-패스와 The 경기패스 혜택 모두 적용 |
주요 혜택 |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무제한 일정 비율 환급 - 전국 대부분의 대중교통에서 사용 가능 - 자동 사후정산 환급 방식 적용 |
신청 방법 | 전용카드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
결론
The 경기패스는 경기도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부담을 경감시키고,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사업입니다. 전국 대부분의 대중교통에서 사용 가능하고, 무제한 환급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경기도민이라면 누구나 신청해 볼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아직 The 경기패스를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이번 기회에 전용카드를 발급받고 회원가입을 해보시는 것이 어떨까요? 이 글이 경기도민 여러분께 The 경기패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