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중교통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필수불가결한 이동수단입니다. 하지만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비용 부담은 만만치 않습니다.

이런 가운데 인천시민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인천시에서 진행하는 인천 I-패스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인천시민들은 대중교통비를 20~53%까지 환급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인천 I-패스 적용 대상 환급 비율 지급 이용 방법 (K-패스 차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천 I-패스 개념

인천 I-패스K-패스를 기반으로 지원범위와 혜택을 확장한 인천형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입니다. 5월 1일부터 시작되는 이 사업으로 인해 인천시민들은 대중교통 이용 시 상당한 비용 절감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천 I-패스 적용 대상과 환급 비율

인천 I-패스가 적용되는 대상은 마을버스, 시내버스, 광역버스 등 노선버스와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의 도시철도, 그리고 광역급행철도입니다. 단, 시외버스, 고속버스, KTX, SRT 등은 제외됩니다.

환급비율은 일반 20%, 청년(19~39세) 30%, 65세 이상 어르신 30%, 저소득층 53%로 K-패스에 비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월 15회부터 무제한 환급이 가능해져 이용 횟수에 따른 제한이 없어졌습니다.

인천 I-패스 지급 방식 이용 방법

인천 I-패스 환급금은 K-패스 카드 사용 익월에 청구할인(신용카드), 계좌입금(체크카드), 충전(모바일선불카드) 등 카드사의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됩니다. 단, 하나카드의 경우 사용 2개월 후 마일리지로 지급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라면 알뜰교통카드 누리집 및 앱에서 K-패스로 회원전환 후 별도 카드 발급 없이 기존 카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카드 신규 발급자는 선불형 또는 후불형 K-패스 카드를 준비하고, K-패스 회원가입(카드 등록 필수) 후 K-패스 카드로 전국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됩니다. 적립내역은 K-패스 누리집 및 앱 마이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천 I-패스  요약정리

구분 내용
인천 I-패스 인천형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적용대상 노선버스(마을, 시내, 광역), 도시철도(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 광역급행철도
환급비율 일반 20%, 청년(19~39세) 30%, 65세 이상 어르신 30%, 저소득층 53%
지급방식 K-패스 카드 사용 익월에 카드사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
이용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K-패스 회원전환 후 기존 카드 이용
K-패스 카드 신규 발급자: K-패스 카드 준비 → 회원가입(카드 등록) → 전국 대중교통 이용

결론

인천 I-패스 사업은 인천시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상당 부분 경감시켜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청년, 어르신, 저소득층에 대한 환급비율 확대와 월 15회부터 무제한 환급은 이 사업의 가장 큰 메리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 인천 I-패스를 이용하지 않고 계신 인천시민이라면 이번 기회에 꼭 신청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글이 인천 I-패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