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시장의 약세에 투자하고 싶으신 분들께 KOLD ETF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KOLD는 천연가스 선물 지수의 일일 등락률을 -2배로 추종하는 상품으로, 최근 에너지 가격 조정 국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KOLD는 선물과 스왑 등 파생상품을 활용해 지수 하락 시 강한 수익률을 노리는 전략을 구사합니다.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읽어낼 경우 높은 투자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력적인 ETF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KOLD ETF 분석 운용전략 배당금 배당률 수수료 주가 전망 1억 투자시 예상에 대해 보다 자세히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KOLD ETF 기본소개
항목 | 내용 |
---|---|
상품명 | ProShares UltraShort Bloomberg Natural Gas ETF |
유형 | 원자재(천연가스) |
시가총액 | $142.40M |
52주 최고/최저 | $88.49 / $21.87 |
기초지수 | Bloomberg Natural Gas Subindex |
상장일 | 2011.10.04 |
펀드보수 | 1.66% |
운용사 | ProShare Capital Management LLC |
수익률(%) | 1개월 -18.68%, S&P 500 3.46% |
6개월 -21.72%, S&P 500 15.75% | |
1년 27.62%, S&P 500 24.43% |
KOLD ETF는 ProShare Capital이 2011년 10월 선보인 천연가스 관련 상품으로, 현재 순자산규모는 약 1억 4,200만 달러에 이릅니다.
최근 성과를 보면 1개월 -18.68%, 6개월 -21.72%로 다소 부진하나, 1년 기준으론 27.62%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순수 주가 기준 수익률로, KOLD는 배당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주요 보유 자산 | 비중 |
---|---|
Henry Hub Natural Gas Feb24 | 59.29% |
KOLD의 포트폴리오는 천연가스 선물 포지션과 함께 40% 이상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레버리지 ETF 운용 과정에서 필요한 담보 성격의 자금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KOLD ETF 운용전략
KOLD는 천연가스 선물 벤치마크인 Bloomberg Natural Gas Subindex의 일간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 ETF입니다. 말인즉슨 기초지수가 하루 동안 5% 빠지면, KOLD는 그 반대 방향으로 2배 수익을 낸다는 것이죠.
이를 달성하기 위해 KOLD는 천연가스 선물을 공매도하는 전략을 주로 활용합니다. 여기에 더해 스왑 등의 파생상품을 통해 목표한 베타(-2x)에 부합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됩니다.
이처럼 특정 지수와 역의 상관관계를 갖되 일정 배수를 적용하는 ETF를 우리는 인버스 ETF라고 부릅니다. 인버스 ETF는 시장이 하락할 때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복리 효과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지수를 따라잡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KOLD ETF 배당금 배당률
현재 KOLD는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KOLD ETF 수수료(운용보수)
구분 | 수수료 |
---|---|
KOLD | 1.66% |
전체 ETF 평균 | 0.49% |
유사 ETF 평균 | |
- BOIL | 2.11% |
- FCG | 0.60% |
- HDRO | 0.30% |
KOLD의 연간 운용보수는 1.66%로 ETF 평균치(0.49%)를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 같은 기초자산을 대상으로 하는 펀드 중에서도 최고 수준에 속하는 높은 보수율이라 하겠습니다.
이는 선물, 스왑 등 파생상품 거래에 수반되는 비용, 복잡한 포트폴리오 운용에 따른 추가 수수료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인버스/레버리지 ETF들은 일반 ETF 대비 높은 보수를 부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KOLD ETF 주가 전망 및 목표 수익률
천연가스는 글로벌 에너지 수급 상황, 경기 변동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작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가격이 크게 반락한 상태입니다.
이런 흐름 속에 천연가스 약세에 베팅한 KOLD의 수익률은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레버리지 ETF의 일반적 특성인 높은 변동성, 장기 투자에 따른 복리 효과의 부정적 영향 등은 유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당분간 천연가스 시장의 약세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KOLD 주가의 추가 상승 여력도 충분해 보입니다. 단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 효과에 따른 수익 훼손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은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현 시점에서 1년 후 KOLD의 목표 수익률은 20~30%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해 봅니다. KOLD는 배당을 실시하지 않기에 기대 수익률은 주가 상승분이 전부일 것입니다. 참고로 이는 보수적으로 추정한 수치이며, 실제 주가 흐름은 천연가스 시장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1억 투자시 예상 수익금
구분 | 금액 |
---|---|
원화 투자금액 | 1억원 |
적용 환율 | 1,300원 |
달러 투자금액 | $76,923 |
1년 예상 수익금 | 달러 |
- 20% 상승 가정 | $15,385 |
- 30% 상승 가정 | $23,077 |
1억원을 KOLD에 투자한 경우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환율 1,300원을 적용하면 달러 투자금은 $76,923이 됩니다.
이에 앞서 제시한 목표 상승률 20~30%를 반영할 경우, 1년 뒤 예상 수익금은 각각 $15,385(원화 2천만원), $23,077(원화 3천만원)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참고로 환율 1,300원은 편의상 적용한 장기 평균치이며, 실제 투자 결과는 환율 등락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입니다)
요약정리
항목 | 내용 |
---|---|
상품명 | ProShares UltraShort Bloomberg Natural Gas ETF |
기초지수 | Bloomberg Natural Gas Subindex |
운용보수 | 1.66% |
순자산 | $142.40M |
배당률 | 없음 |
1년 예상 수익률 | 20~30% 내외 |
결론
지금까지 천연가스 약세장에서 수익을 추구하는 인버스 ETF KOLD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았습니다. KOLD는 기초지수 일일 수익률의 -2배를 목표로 하는 상품으로, 시장 하락 국면에서 강한 수익률을 기대해 볼 만한 ETF라 하겠습니다.
다만 변동성이 크고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레버리지 ETF의 일반적 특성은 늘 유념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높은 운용보수 역시 수익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입니다.
이런 제반 사항들을 충분히 감안하여 KOLD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천연가스 시장의 약세가 전망된다면, 단기 수익을 노려볼 만한 상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통해 투자자 여러분의 KOLD ETF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으셨기를 기대합니다. 장문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근댓글